사단법인 한국천연염색숨

프로젝트

고객의 만족을 위해 도전을 멈추지 않는 사단법인 한국천연염색숨입니다.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 + 6차산업 전수

사회적기업 '사단법인 한국 천연염색 숨'은 취약계층과 청년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남에서 잘 살아보기 (특화형) 운영을 통해 예비 귀농 귀촌인들에게 6차산업 천연염색 기술 전수와 안정적인 정착을 돕는 지원과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의 성장과 지역사회의 발전에 공헌하겠습니다.

6차산업
천연염색
기술 전수
다양한
천연염색
제품 생산
지속적
일자리 창출

'전남에서 잘 살아보기'는 전남에 관심이 있고 이주를 고려중인 도시민이
농산어촌 민박, 농산어촌 생활, 현장체험, 교육 등에 참여할 수 있도록
농산어촌 체험·교육 프로그램입니다.

귀농산어촌 1번지 전남에서는 '귀농산어촌'을 꿈꾸는 분들의 안정적인 정착과 풍요로운 삶을 위해
'전남에서 잘 살아보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젠 귀농산어촌도 살아보고 결정하세요.

전남에서 잘 살아보기

사업배경

귀농산어촌에 대한 관심 유도

전남 농산어촌에 일정기간 체류하며 농산어촌
체험, 영농기술 교육, 정보습득 등의 기회를 제공하여
귀농산어촌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고자 합니다.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도농간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도시민이
농어촌으로 이주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신청안내

  • 신청대상타 시·도에 주소지를 두고 있는 자
    ※ 39세 이하 청년 우대
  • 신청방법live.jeonnam.go.kr 인터넷 신청※ 팀을 구성하여 신청하는 경우 대표자가 일괄신청
  • 비용무료(숙박·프로그램 참가비 지원)※ 식비 등 생활비는 자부담
  • 거주기간5일 ~ 90일
  • 의무 이수점수1일당 1점 / 예) 15일 참가자 15점※ 귀농 창업자금, 주택구입자금 신청시
    귀농귀촌 교육점수로 인정 혜택
  • 문의전화1577-1425 / 061-852-5622

참가 및 체험 절차

  • 신청서 제출live.jeonnam.go.kr → 체험마을·객실 선택 → 신청서 작성
  • 예약금 납부예약금은 프로그램 이수 후 전액 환급(예약금 : 숙박비의 30%, 최대 100만원 이내)
  • 참가자 선정유선 상담을 통해 마을 운영자와 협의
  • 체험기 등록'전남에서 잘 살아보기' 체험 중 홈페이지 수시 등록
  • 설문지 제출'전남에서 잘 살아보기' 참여 후 홈페이지 등록

프로그램 형태

일반형

농산어촌 체험 및 귀농산어촌 정보습득 등 일반 교육

체류기간 5일 ~ 6일
참가대상 14세 이상 타 시도에 주소지를 두고 있는 자
※ 우대 : 18~39세 청년
운영자 20개소 내외 도시인에 대한 귀농산어촌 교육, 현장체험, 주민교류 등 프로그램 운영을 갖춘 마을 및 농가
참가신청 전남에서 잘 살아보기 홈페이지 신청/접수
접수신청 마을/농가에서 선정, 운영

특화형

가공기술 등 전문기술 전수하는 창·취업반 운영

체류기간 20일 ~ 90일
참가대상 타 시도에 주소지를 두거나 전남에 귀농귀촌한지 3년 이내인 자
※ 나이제한 : 18세 ~ 55세
※ 귀농귀촌 교육 10시간 이상인 자
운영자 3개소 내외 1차 농수산물을 활용한 6차 산업기술 및 전문기술 전수 교육능력을 간춘 마을 및 농가
참가신청 전남에서 잘 살아보기 홈페이지 신청/접수
접수신청 마을/농가에서 선정, 운영

귀농산어촌 프로그램(미션) 이수

  • 프로그램(미션) 의무 이수점수는 1일당 1점 / 예) 15일 참가자 15점 이상 이수
  • 참가자가 체류기간별 이수점수를 달성하지 못한 경우 숙박비는 참가자 자부담
  • 운영자는 참가자가 체류기간별 이수점 를 달성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제공 (70% 이상)

귀농산어촌 프로그램 유형

주민화합

마을리더·주민과 간담회, 어울림 행사 등

농산어촌체험

농산어촌 생활, 영농어 체험(재배, 수확) 등

지역탐방

시·군 문화·관광지, 재래시장, 시·군청 등 방문

정보습득

농지·주택·자녀학교 정보 귀농산어촌 정책

현장견학

귀농산어촌인 농장, 창업우수사례, 마을기업 등

교육참여

귀농산어촌 이해, 건강교실, 영농어 교육, 창업 교육 등

지역나눔

마을 주제 콘텐츠 제작, 일일교사 등

기타

마을 일손돕기, 자원봉사, 울력참여 등